어느 신문사가 취재기자 지원서 접수를 마감했다. 지원자도 많았고 문의메일도 아주 많았다고 한다.

취재기자가 되기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어떻게 해야 글을 잘 쓸 수 있는지 물어보는 사람들이 많다. 굳이 답을 하자면 너무너무 당연한 얘기지만, 반복해서 쓰는 것만큼 좋은 글쓰기 훈련은 없다.

 


여러 글쓰기 대가가 들려준 ‘습작의 중요성’에 대해 얘기하자면, <유혹하는 글쓰기>에서 스티븐 킹은 단호하게 말한다.
“많이 읽고 많이 써야 한다.”
이 두 가지를 슬쩍 피해갈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지름길도 없다.

그러면서 그 자신의 경우 1년에 70~80권의 책을 읽고, 하루에 10페이지씩 쓴다고 했다. 그 정도면 3개월에 책 한 권이 나오는 수준이라고 한다.
물론 그는 비평이 아닌 소설 창작에 대해 얘기한 것이지만, 어떤 종류의 글에 적용하더라도 방법론은 마찬가지일 것이다.

글쓰기에 대해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에서 유시민 작가는 독특한 표현을 썼다.
‘글쓰기 근육’
근육을 만들고 싶다면 일단 많이 써야 한다. 그게 기본이다. 언제 어디서든 글을 쓸 수 있다면 무조건 쓰는 게 답이다. 그것이야말로 진부한 처방이지만 어쩔 수 없다.

그처럼 습작은 글쓰기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한 반복적인 행동이다.
<힘 있는 글쓰기>를 펴낸 피터 엘보는 글쓰기에 있어 ‘탁월함은 어떻게 끌어내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단호하게 말했다.
‘엄청나게 많이 쓰지 않고서 탁월한 글을 써낼 가망은 거의 없다.’

또 <하버드 글쓰기 강의>를 쓴 바버라 베이그는 아예 책의 첫 번째 장 제목을 ‘습작’에 할애하면서, 습작을 하지 않는 이들에게 이렇게 반문했다.
“운동선수와 음악가가 필요한 기술을 익히고 훈련을 통해 그 기술을 끊임없이 연마한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인데, 당신은 왜 글쓰기 연습을 하지 않는가?”

습작을 하지 않는 것은 아무런 훈련이나 준비도 없이 실전 야구 경기에 나가는 선수, 콘서트에 임하는 음악가와 똑같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프리 라이팅 Free Writing 훈련’을 소개했다.
‘한 번에 10분씩, 일주일에 3회씩 몇 주간 반복하라.’
글쓰기 근육도 그 흔한 ‘주 3회 운동’을 하여 단련시키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글쓰기 생각쓰기>의 윌리엄 진서는, 쓰는 사람의 태도에 대해 일침을 가했다.
글쓰기가 직업인 사람들은 매일 쓰는 양을 정해놓고 엄격히 지켜야 한다. 글쓰기는 기능이지 예술이 아니다. 영감이 모자란다는 이유로 기능을 연마하는 일에서 손을 떼는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이다.

그가 제시하는 글쓰기를 배우는 유일한 방법이란 바로, ‘강제로 일정한 양을 정기적으로 쓰는 것’이다.
하지만 습작을 반복한다고 해서 원하는 만큼 좋은 글을 쓰게 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기자 등 직업적 글쓰기를 꿈꾸는 사람들은 ‘분량과 마감’에 대한 끊임없는 인지가 필요하다.

그래서 한편의 영화에 대해 글을 쓰되, 어딘가로부터 청탁을 받아 정해진 기간 안에 제출하는 느낌을 상기하면서, 200자 원고지 10매 분량 그러니까 A4지 1장 정도의 글을 5시간 안에 쓰기로 마음먹고 실행에 옮겨보는 것이다.

 

더 저렴한 대량직구 amazon


스스로 만족스러울 때까지 써나가는 것이 아니라,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정해둔 분량과 시간 안에 ‘한편의 글’을 완성해보는 것이다.
시간에 쫓겨 억지로 마감했다면, 무엇이 부족한지 눈에 보일 것이다. 그걸 고치면 된다.
물론 그게 말처럼 쉽지 않아서 문제지만, 언젠가는 만족스러운 글을 쓰게 될 것이다.

스티븐 킹 저 <유혹하는 글쓰기 : 스티븐 킹의 창작론> 를 참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