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동안 소실되었다고 여겨졌던 400년 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직접 쓴, 역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는 편지 원본이 최근 발견된 것을 살펴보자.


2018년 9월 21일 세계적인 저널 네이처 (Nature, The International Weekly Journal of Science)의 뉴스란에는 황당하면서도 과학 역사가들에게 놀랄만한 기사 한 편이 실렸다. 기사의 리드는,

Discovery of Galileo’s long-lost letter shows he edited his heretical ideas to fool the Inquisition


이탈리아 베르가모 대학의 과학 역사학자 살바토레 리치아르도 Salvatore Ricciardo 박사가, 다른 곳도 아닌 이름만으로도 겁나 유명한 ‘영국왕립학회’ 도서관에서 1616년 갈릴레이에 대한 첫 종교재판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단서였던 1613년 12월 21일 <카스텔리에게 보내는 편지> 원본을 발견했다.


그가 이 편지를 발견한 과정은,

① 갈릴레이의 서한을 받은 사람들의 추가적인 코멘트를 연구하고 있었다.

② 영국왕립학회의 온라인 카테고리 검색에서 ‘카스텔리’를 검색했다.

③ 뜬금없이 1613년 10월 21일로 표기된 갈릴레이의 편지를 발견했다.

④ 12월 21일에 작성된 그의 편지였고, 아래에는 정확히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약자 서명 G.G.가 있었다.


심지어 이 원본 편지는 1840년 왕립학회 카탈로그에서도 1613년이 아닌 1618년으로 분류된 사실을 보면, 찾지 못한 역사적 기록들이 아직 더 많이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도 든다.




이 카스텔리에게 보낸 갈릴레이의 편지가 왜 역사적으로 중요했던 것일까?

이야기는 갈릴레이가 종교재판으로 종신형을 선고 받았던 1633년보다 20년 이전인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1609년 당시 파도바 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던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망원경이 발명됐다는 얘기를 풍문으로 듣고는, 그 망원경보다 훨씬 배율이 높아서 달까지도 자세히 볼 수 있는 ‘최신 망원경’을 제작했다.

덕분에 그는 달이 완벽한 구체라는 주변의 잘못된 인식을 깨고, 실제 달의 울퉁불퉁한 모습을 소상히 밝혀내게 되었다.


너무 신이 났던 갈릴레이는 열심히 금성과 목성 등 여러 행성들의 움직임과 상 변화를 관측했고, 마침내 금성 Venus의 상 변화가 기존의 ‘천동설’과 맞지 않는 패턴을 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놀랍게도 이것은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에 힘을 싣는 금성의 상 변화였던 것.


이러한 천체 관측을 토대로 완성된 갈릴레이의 천문학 책, <시데리우스 눈치우스 Sidereus Nuncius>는 ‘지동설의 증거’를 분명히 나타내주는 책이었다.


때마침 당시 피사 대학 교수이자 갈릴레이의 베프 동료였던 베네디토 카스텔리는 갈릴레이의 팬덤을 자처하며 이에 적극 동조했다. 1613년 12월 12일 토스카나 궁전에서 열린 조찬회에 초대받은 카스텔리는, 동석한 같은 대학교 교수인 코시모 보스칼리아가 지동설이 성경 말씀에 위배된다고 디스를 하자, 이에 빡쳐서 지동설 옹호의 열띤 랩배틀을 시작했다.


당시 독실한 신자이자 토스카나 대공의 엄마인 크리스티나 부인도 가세해 열렬한 질문 공세가 이어졌다. (이렇게 세상은 자신의 ‘앎과 모름’ [일명 무식함]을 스스로의 믿음과 헷갈리는 사람과 사태가 허벌나게 엄청 많다. 모르면 가만히 있으면 중간씩이나 가나…?) 그러나 갈릴레이의 발견을 토대로 한 카스텔리의 설득은 결국 실패했다. (소한테 경을 아무리 읽어준들 무슨 소용… 이것도 사람과 짐승의 차이?)


너무나 우울한 나머지 그는 갈릴레이에게 이 사실을 전했다. 그리하여 바로 그 1613년 12월 21일 갈릴레이는 아리스토텔레스 Aristotle와 프톨레마이오스 Ptolemy의 천동설이 틀렸으며,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이 옳다’라는 글과 함께 천동설을 맹목적으로 지지하는 이들을 돌려 까는 편지를 무려 일곱 장이나 작성하여 카스텔리에게 보낸다.


이 편지가 나중에 여기저기 많은 학자들 사이에서 사본이 나돌기 시작했다.

그런데 그 사본을 보게 된 피렌체의 신부인 니콜로 로리니, 평소에 지동설을 겁나 싫어했던 그는, 1615년 2월 7일 이 ‘카스텔리에게 보낸 편지’가 갈릴레이의 이단 신봉을 명백히 보여주는 증거라며 로마 교황청에 고발하게 된다.


이로부터 열흘이 지난 2월 16일 갈릴레이는 카스텔리에게 보낸 ‘편지 원본’을 냉큼 돌려받아, 자신과 친한 피에로 디니 신부에게, ‘로리니 신부같이 사악하고 무지한 샤끼들이 나를 모함한다’라고 토로하면서, ‘이게 내가 진짜 작성한 원본 편지의 사본이오!’라며 그것을 로마에 보내줄 것을 간곡히 요청했다.


실제로 로리니가 전달한 사본과 갈릴레이가 원본이라고 주장한 사본 사이에는 문맥상 성경을 디스하는 수준이 상당히 달랐다.


로리니의 사본 : 성경을 글자 그대로만 보면 다수의 ‘틀린’ 명제들이 있다 (강한 어조 디스)

갈릴레이의 사본 : 성경을 글자 그대로만 보면 다수의 ‘진리와 다르게 보이는’ 명제들이 있다 (의견 수준)

로리니의 사본 : 성경은 가장 기본적인 교리를 ‘왜곡하는 것’을 삼가지 않았다

갈릴레이의 사본 : 성경은 가장 기본적인 교리를 ‘가려놓는 것’을 삼가지 않았다

로 각각 표현이 되어 있었다. 문맥 차이만으로도 이단 신봉인지를 결정할 수 있는 아주 민감한 차이였다.


그나마 당시엔 성직자들 사이에서도 ‘가설’이라면 ‘지동설’을 용인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이들도 있었는데다, 로리니가 전달한 사본 역시 ‘신빙성이 없다’라며 (그래서 갈릴레이가 편지 원본을 냉큼 돌려받았구먼… 영특한 선구자!) 결국 갈릴레이의 무혐의로 일단락되었다.



그 후 갈릴레이가 실제로 카스텔리에게 보낸 원본 편지의 존재는 세상의 관심에서 묻혀졌고, 둘 중 어떤 게 진짜 원본인지는 400년 더 지난 올해 여름까지도 아무도 아는 넘들이 없었다.

드디어 2018년 9월 21일 갈릴레이의 이 원본 편지가 세상에 공개되었는데, 그 결과 충격적인 반전이 400년 만에 드러난 것이다.


갈릴레이가 카스텔리에게서 돌려받은 편지 원본은 피에로 디니 신부에게 사본을 만들어 보내기 전 중간중간에 줄을 치며 수정한 것이 드러났으며, 수정 전후의 글씨가 모두 갈릴레이의 필체임이 확인되었을 뿐만 아니라, 수정되기 전의 원래 문구대로라면 로리니 신부가 제출한 내용이 원본과 일치했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당시 갈릴레이는 종교재판에 갈 수 있는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원본 문구를 수정했고, 오히려 로리니가 악의적으로 수정했다며 ‘거짓 해명’한 것으로 드러났다. (진실은 아름답지만 추악한 것이여~)


만약 그 당시 로리니 신부의 사본이 원본과 같다고 밝혀졌다면, 갈릴레이는 ‘이단 신봉’이라는 죄를 1633년의 종교재판보다 17년이나 일찍 감당했을 것이며, 그의 유명한 저서인 <두 우주 체계에 대한 대화 Dialogo di Galileo Galilei Linceo Matematico Sopraordinario>나 <새로운 두 과학 Discorsi E Dimostrazioni Matematiche> 등은 세상에 나타나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결국 4세기가 지나서 돌이켜보는 갈릴레이와 로리니 신부의 갈등… 그리고 종교재판이라는 종교의 허무맹랑한 독선… 기존의 통념과 지식을 그대로 믿으려는 자들과 스스로 확인하려고 했던 이들 사이에서의 갈등과 알력이 아니었을까?


꼴통들의 견해가 갈릴레이의 이름처럼, 갈릴 수밖에 없었던 시절의 가장 핫했던 과학과 역사의 이야기다.


<Unrealscience>를 참고




가정, 직장, 취미, 어떤 분야든 최고의 파트너를 만나면 삶은 몇 배로 즐거워진다. 하지만 공짜는 없다. 최고의 누군가를 만나기 위해 우리는 상대의 마음부터 얻어야 한다.


누구보다 사람의 마음을 얻는데 뛰어나 350년간 세계 최고 부자를 지킨 가문이 있다.

산골마을의 농장주에서 시작해, 세상에 엄청난 역사적 기록을 남긴 이 가문은 사람들의 마음을 얻어 새로운 시대를 태동시켰다고 말한다.


뿐만 아니라 미켈란젤로 Michelangelo 같은 천재 화가를 최고의 예술가로 길러냈고, 갈릴레이 갈릴레오 Galilei Galileo를 후원해 천문학 발전을 가져왔다. 도대체 어떻게?




1) 무엇보다 의리와 신용부터 보여주자


15세기 초반, 실질적으로 메디치 가문을 일으킨 은행가 '조반니 디 비치 데 메디치 Giovanni di bicci de' Medici'. 그는 당시 후발주자였던 메디치 은행의 로마 점장으로 시작해 은퇴하는 삼촌의 뒤를 이어 직원 17명의 은행을 인계받는다.


이때 본점을 피렌체로 옮기게 되는데, 역사는 거기서 시작된다.

메디치 은행에서 대출을 받은 후 8년간 거래를 지속한 추기경 코사. 이후 그가 교황으로 선출되며 소규모 은행 메디치는 갑자기 교황의 주거래 은행으로 바뀌게 된다.


조반니 디 비치는 모든 게 잘 돌아가는 듯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교황이 폐위되어 체포되고 거액의 벌금을 물기에 이른다. 최대 고객이 빚까지 떠안고 몰락하게 된 이 상황에, 조반니 디 비치는 폐위당해 감옥에 갇힌 교황에게 거액의 돈을 빌려주며 끝까지 돌봤고, 임종 후에는 화려한 묘지까지 마련해준다.


당시 은행업에서 가장 중요했던 비즈니스 가치는 바로, '의리와 신용'이었다. 이들은 그 사례로 '한번 거래한 고객은 절대 버리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줬던 것이다. 물론 메디치 은행 역시 큰 타격을 받았지만, 새로운 교황으로 선출된 마르티누스 5세는 메디치 은행을 교황청의 주거래 은행으로 지명했고, 그때부터 업계 1위 은행으로 올라선다.


2) 아끼지 말고 전폭적으로 지지하자


평범한 피렌체 소년 미켈란젤로를 위대한 화가로 만든 건 메디치 가문의 로렌초 Lorenzo de' Medici였다. 우연히 '산 마르코 수도원' 근처에 있던 메디치 정원을 산책하다가, 조각 연습을 하고 있던 한 소년을 만난다.


그날 소년 미켈란젤로는 사냥과 목축의 신 '파우누스'의 두상을 연습 삼아 조각하고 있었는데, 늙은 파우누스의 얼굴 치고는 가지런히 뻗은 흰색 치아가 돋보이는 작품이었다. 로렌초는 소년에게 다가가 '늙은 할아버지 이빨 치고는 너무 가지런하지 않니?'라고 말했다.


다음날 같은 장소를 산책하던 로렌초는 어제 만난 소년이 조각해놓은 늙은 파우누스의 완벽한 조각을 보고 감탄을 금치 못해, 곧바로 그 소년을 메디치의 양자로 입양한다. 그때부터 미켈란젤로는 웅장한 메디치 저택에서 생활하며, 당대 최고의 인문학자들에게서 새로운 학문과 사상을 배우고 철학자들로부터 플라톤 철학과 미학을 배우게 된다.

이후 르네상스 예술은 미켈란젤로에 의해 최고의 아름다움으로 발전한다.



3) 틈틈이 끊임없이 새로운 대화를 하자


코시모 데 메디치 Cosimo de' Medici는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생각의 틀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공부를 하던 중,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의 차이에 대하여'라는 강연에 흥미를 느끼게 된다. 그때부터 플라톤 사상에 관심을 갖게 되어 플라톤 아카데미를 세우고, 틈나는 대로 그곳을 방문해 사람들과 철학적 토론을 하게 된다.


당시 전 유럽으로 확장되던 메디치 은행을 경영하느라 눈코 뜰 새 없이 바빴던 코시모. 집무실에는 늘 판단하고 결정해야 할 사안들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음에도, 틈만 나면 아카데미로 찾아가 책 읽고 함께 토론하며 밤을 지새우기 다반사였다.


팍팍한 삶에 '무엇이 나를 가장 큰 행복으로 이끌어줄 수 있을까?'와 같은 질문을 던지고, 토론을 했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사람들과의 대화를 통해 직관과 통찰이 생긴다는 것을 알았던 것이다. 단순히 일상적 대화가 아닌,

'공부하고 토론하며 새로운 생각을 교환하는 행위가 영원히 지혜롭게 사는 방식을 가르쳐준다'는 사실을 그는 알고 실천하기를 마다하지 않았던 것이다.


상대의 마음을 얻는 것, 그 자체가 목적일 때 이 방법은 힘을 가진다.

메디치 가문 역시 그들이 누린 부와 명예 그리고 권력 모두, 사람의 마음을 얻기 위한 수단이었지 목적은 아니었다고 말한다.


이 세상을 누군가와 함께

즐겁게 살아가겠다는

'인간적 목적'에서

비롯되어야 한다.


김상근 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지식을 말하다>를 참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