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사람은 생각하는 게 달라! 어떻게 저런 아이디어를 내는 거지? 저건 분명 타고난 거야!


세상에는 누구도 따라올 수 없을 만큼 비범한 사고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있는 것만 같다. 과연 그들은 복잡한 문제들을 어떤 과정을 거치며 풀어낼 수 있는 걸까?


'미니멀 사고법'의 전문가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인 '스즈키 에이치'

그는 여러 기업의 연수에서 강연을 하며 이 질문에 대해 고민했고, 결국 한 가지 결론에 도달했다.


"지금까지 1만5천명이 넘는 사람들에게 논리적 사고를 지도해왔는데, 무엇이 중요한지, 무엇이 우선인지를 알지 못해 제대로 판단을 내리지 못하는 사람들은, 한 가지 공통적인 문제가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바로 생각하는데 일관성 없이 뒤죽박죽 하는 습관을 가진 것이었지요.


다시 말해 머릿속에 잡동사니가 가득해서 제대로 생각하지 못하고, 결국은 잡동사니가 나올 수밖에 없는 거죠. '어찌 되든 상관없는 일'과 '생각해봐야 소용없는 일'에 사로잡혀 헛된 생각만 하고, 결국 역효과를 초래합니다."


잡동사니에서 벗어나 '해결해야 할 문제'에만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쉽지 않다. 그래서 그가 고안한 한 가지 생각법, '미니멀 사고'를 소개한다.


스즈키가 말하는 '미니멀 사고법'을 쉽게 표현하면, '구조로 접근해서 구조를 바꾸는 것'.


예를 들면, 책상을 정리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의지가 부족해서가 아니라 물건을 간수할 적당한 구조가 없기 때문이다.

경리 담당자가 회삿돈을 빼돌리는 이유는 담당자의 윤리관이 부족해서라기보다, 돈이 쉽게 빠져나갈 수 있는 회사 시스템 탓이다.


즉, 문제의 원인을 한 개인이 아닌 '구조'에서 찾아 그 구조를 단번에 개선하는 것이 미니멀 사고다.


손님들이 계산을 기다리다가 무심코 아이스크림 진열대에 짐을 올려놓는 바람에 유리가 깨졌다고 하자.

'물건을 올려놓지 마세요'라고 안내 문구를 붙여놓거나, 안내 방송을 할 수도 있다.


그런데 구조를 바꾸는 미니멀 사고법을 적용하면, 수평인 유리면이라는 형태와 구조에서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진열대 윗부분을 수평이 아닌 경사면으로 바꿀 수 있을 것이다.



병원에서는 어떤 적용이 가능할까?

수술실 문은 보통 발로 스위치를 눌러 열도록 되어있다. 수술 전 소독한 손을 더럽히지 않기 위한 아이디어인데, 문제는 깜빡 잊고 손을 씻지 않은 채 수술실로 들어가는 의료진이 꽤 있다는 것이다.


의료진들에게 손 씻기 교육을 하거나 수술 전에 손을 꼭 씻으라는 안내문을 붙일까?

환자나 가족들이 보면 조금 웃픈 경우다.

누구보다 위생에 대해 잘 아는 의료진들에게 그런 방법을 권하기보다는, 수술실 문에 손을 갖다 대면 소독약이 자동 분사 되도록 만들고, 그렇지 않으면 열리지 않게 만드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이처럼 외부 구조를 바꿈으로써 단번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미니멀 사고'이다.


쉽지 않은 문제와 마주했을 때 단번에 핵심을 꿰뚫고 해결하는 사람들은,

심플하게 접근하자.

최소한으로 해결하자.

라고 생각하는 습관이 배어 있다.


구조로 접근해서 구조로 해결하는 '미니멀 사고'는 어지럽고 복잡한 상황을 단순화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스즈키 에이치의 <베리 심플>을 참고



열심히 일했지만 정작 모인 돈은 없을 때, 수많은 건물 중 내가 지낼 제대로 된 방 하나 없을 때, 우리는 세상이 불평등하다고 느낍니다. 


그런데 불평등을 더 느낄수록 수명까지 짧아지고,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된다고 말하는 책이 있습니다.

오늘은 <부러진 사다리>를 소개합니다.


사다리는 불평등을 이야기할 때 자주 쓰이는 은유입니다. 사다리의 높은 층은 더 나은 지위와 소득, 안정, 미래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높은 층에 올라가기 위해 애를 쓰지요. 물론 열심히 일할수록, 능력이 있을수록, 더 대우를 받아야 하기에 사다리는 필요한 존재이기도 합니다. 


문제는 사다리 간의 격차가 크게 벌어지면서 생깁니다. 현대의 사다리는 밑에서 시작했다면, 아무리 노력해도 위 사다리로 올라갈 수 없는 구조가 되었습니다. 사다리 손잡이가 중간쯤에서 몇 개 부러지고 없어진 것이지요. 사람들은 신세 한탄을 해보기도 하고, 나라 탓을 해보기도 하다가, 결국 체념하고 하루를 살아갑니다. 


스스로 흙수저라 부르며 쓴웃음을 지으면서 지나치기도 하지요. 하지만 불평등은 생각보다 더 깊숙이 우리 내면에 침투합니다. 가끔은 나쁜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며, 개인과 사회를 병들게 만들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비행기를 한번 보죠. 비행기는 사다리가 물리적으로 구현되어 있는 공간입니다. 맨 위에는 일등석이 있고, 넓은 좌석, 맛있는 음식, 여유로움이 있지요. 그 밑에 비즈니스석이 그리고 그 밑에 이코노미석이 있습니다. 


연구진이 신기한 사실을 발견합니다. 

일등석이 존재하는 항공편이, 모든 좌석이 동일한 항공편보다 기내 난동 발생률이 4배나 높다는 것입니다. 특히 비행기를 탑승할 때 일등석을 지나쳐서 입장해야 하는 경우, 기내 난동 발생률이 또 2배 높아졌습니다. 


일등석 사람은 먼저 탑승해서 편히 쉬고 있는데, 나는 무거운 짐을 질질 끌면서 그 옆을 지나칠 때, 우리는 불평등을 몸으로 느끼게 됩니다. 그렇지만 이코노미석의 승객들도 비행기를 탈 정도이기에, 그들이 정말로 가난한 상태라고는 말할 수 없겠지요. 


가난과 불평등은 다른 문제입니다. 

불평등이 심해지면 실제로 가난하지 않은 사람들까지 빈곤감을 느낍니다. 일등석을 마주친 이코노미 승객들처럼 말이지요. 


소득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그래프로도 증명할 수 있습니다. 각국의 1인당 소득과 건강, 사회문제 지수를 비교해보면, 특정한 패턴을 발견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소득불평등과 건강, 사회문제 지수를 비교하면, 명확한 패턴이 발견됩니다. 불평등할수록 건강이 나빠지고 사회문제가 심해졌습니다. 


그렇다면 왜 불평등과 같은 추상적인 요인이, 건강과 같은 신체적인 문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걸까요? 실험과 연구 끝에 저자가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불평등은 사람이 더 큰 위험을

감수하게 만들고,

빨리 살고 일찍 죽자 식의

충동적인 인생을 강요한다.



생명체는 주변 환경이 나쁠수록 지금 당장 먹을 수 있는 것, 즉시 가질 수 있는 것에 집착합니다. 미래가 보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오늘 하루 잘 사는 것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사람들에게 오늘의 100달러를 받는 것과 다음 주에 150달러를 받는 것을 선택하라고 하자, 자신이 가난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대부분 오늘의 100달러를 선택했습니다. 불평등, 즉 내가 가난하다고 느끼는 감정이 우리를 즉각적인 만족, 충동적인 행동으로 이끄는 것입니다. 


불평등이 심한 곳일수록 사람들이 마약과 알코올을 남용할 확률이 높으며, 흡연, 과식, 운동 부족 비율이 높다고 합니다. 결국 불평등에 따라 사람의 수명까지 달라집니다. 이 그래프는 미국과 캐나다의 각 주별 사망율과 소득 불평등에 따라 그린 것입니다. 불평등이 심할수록 사망률이 커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시 강조하지만, 여기 그래프에 나온 사람들은 가난한 사람이 아닙니다.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 중 한 곳인 미국에 사는 사람들이죠. 그러나 비교는 상대적이기 때문에 더 잘 사는 사람과 비교한 미국인들은, 스스로를 사다리의 밑바닥으로 던져놓은 것입니다. 


우리가 실제로 가난한가 부유한가는 문제가 아닙니다. 자신을 사다리의 밑바닥으로 억지로 던져 넣는 것이 문제입니다. 그래서 <부러진 사다리>는 상향 비교와 하향 비교를 적절하게 사용하라고 말하고 있지요. 

비교를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일이지만, 우리는 인간이기에 매일매일 비교하면서 살아갑니다. 그래서 저자는 차라리 현명하게 비교하라고 말하고 있네요. 


자신보다 나은 위치에 있는 사람들과 비교하는 것은, 앞으로 나아가는 동력을 주기에 필요하지요. 하지만 이런 상향 비교는 사람을 지치게 만듭니다. 그래서 마음이 허전하거나 우울해진다면, 자신이 지금 가진 것에 감사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전에 더 부족했던 자신을 떠올리면서, 지금 많이 나아졌다는 것에 감사하는 것입니다. 한 편으로는 부서진 사다리를 고치려는 노력도 필요합니다. 그렇다고 무조건적인 부의 평등을 말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너무 심한 불평등은 줄이자는 것입니다. 


적어도 사다리 아래층에 있는 사람들이 마음먹고 노력한다면, 올라갈 수 있다고 생각할 정도의 높이, 그 정도의 사다리를 만들어보자는 것입니다. 이는 어떤 정치적 성향을 옹호하기 위해서가 아니며, 사회의 건강과 개인의 건강을 위한 문제입니다. 


<부러진 사다리>는 말합니다.

불평등은 생과 사의 문제이다.


여러분도 부러진 사다리를 마주해 좌절한 적이 있으셨나요? 우리는 이 사다리의 간극을 어떻게 좁힐 수 있을까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