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근길 차를 타고 집으로 가면서 일주일에 한 번은 이런 생각을 하게 된다. "아~, 무기력해"

잠자기 전 뉴스를 보며 맥주 한 캔을 다 비우면, 또 이런 생각이 든다. "아~, 무기력해"


우리는 왜 무기력에 빠지는 걸까?

<나는 왜 무기력을 되풀이하는가>의 저자 에리히 프롬은, 무기력에 빠지는 이유가 '남이 바라는 나'로 살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 영화 천만 관객 넘었다는 데 아직 안 봤어?'

'세계 여행은 아니더라도 유럽 여행 한두 번은 꼭 가봐야 할 텐데...'


남들과 비슷해지고 싶다는 소망 때문에,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남이 바라는 내가 되어 가는 것이다.

남들이 인정하는 것, 모두가 멋지다고 하는 것을 쫓는 일이 나쁜 건 아니다.


다만 결과만 중시하다 보면, 그 과정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인 '공감과 감탄'하는 법을 잊게 되고, 그것이 쌓이면 어떤 좋은 일이 생겨도 즐겁지 않고 당연하게만 느껴지게 된다.


번아웃 증후군 Burnout Syndrome :

의욕적으로 일에 몰두하던 사람이 극도의 신체적, 정신적 피로감을 호소하며, 무기력해지는 현상. 포부 수준이 지나치게 높고, 전력을 다하는 성격의 사람에게서 주로 나타난다.


뉴욕의 정신분석가 Herbert Freudenberger가 <상담가들의 소진(Burnout of Staffs)>이라는 논문에서 명명했다. 다 불타서 없어진다 burn out고 해서 소진(消盡) 증후군, 연소(燃燒) 증후군, 탈진(脫盡) 증후군이라고도 한다.


노동, 생산, 복지 같은 사회적 관계를 다루는 경영학, 사회학, 사회복지학에서 현대 사회의 병리적 징후를 표현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번아웃 경고 증상으로는,

1) 기력이 없고 쇠약해진 느낌.

2) 쉽게 짜증나고 노여움이 솟는다.

3) 일이 부질없어 보이다가도, 오히려 열성적으로 업무에 충실한 모순적인 상태가 지속되다가, 갑자기 모든 것이 급속도로 무너져 내린다.

4) 만성적 감기, 요통, 두통과 같은 질환에 시달린다.

5) 감정의 소진이 심해 ‘우울하다’고 표현하기 힘들 정도의 에너지 고갈 상태를 보인다.



중요한 것은 행동 그 자체이고,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다. 그런데 우리 문화에서는 무게중심이 정확히 거꾸로 되어있다.


우리는 욕망을 만족시키기 위해 생산하는 대신, 상품을 팔겠다는 목적을 위해 생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 자신을 발견하는 걸 목적으로 떠난 여행이, 인증샷과 꼭 사 와야 하는 쇼핑 리스트를 위한 여행으로 변해버리는 것도 바로 결과를 중요시하기 때문이다.


결과만으로 만들어지는 건 진짜 내가 아니다. 아이들을 생각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세상의 움직임 하나하나에 감탄하고 놀라워하며 눈길을 주는 아이들. 이렇게 모든 과정에 감탄을 일상화하는 것이 바로 진정한 '나'를 찾는 방법이다.


정말로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것. 사실 알면서도 놓치고 지나치기 쉽다. 어릴 적부터 우리는 이미 달성해야 할 목표들을 늘 가지고 살아왔으니까...


학교에 다닐 때는 좋은 성적을 받는 것.

어른이 되면 돈을 벌고 명성을 얻고, 더 좋은 차를 사고, 더 많은 나라를 여행하는 게 일종의 격파 대상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하지만 한 번씩 이런 악착같은 노력을 멈출 때면 의문과 질문을 갖기도 한다.

'이 모든 것을 원하는 사람이 정말 나일까?'

'만약 모든 걸 이루고 나면 그다음에는 뭐가 있을까?'

이런 생각을 했더라도 우리는 빨리, 최대한 빨리 떨쳐버리려 노력한다.


그런 질문으로 괴로워하는 것은 오히려 나를 더 피곤하고 무기력하게 만들 것 같기 때문이다. 결국 우리는 원하는 것을 잘 알고 있다는 착각 속에 살지만, 실제로는 남이 볼 때 그럴듯한 것에 우선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아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정말 어려운 일이다.

그 사실을 깨닫기 위해서는, 내가 실제로 원하는 게 무언지 알기가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는 사실. 이 사실을 깨우쳐야 한다.


물론, 이건 인간이 가져야 할 가장 까다로운 문제 중 하나다. 하지만 무기력증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회피하지 말아야 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진정으로 내가 원하는 것을 찾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내 무기력한 상태에 대한 갈등과 긴장을 받아들이고, 나 스스로에 대한 용기와 믿음을 가져야 한다.

▷ 안전을 포기할 용기,

▷ 타인과 달라지겠다는 용기,

▷ 고립을 참고 견디겠다는 용기,

생각과 감정에서 남이 아닌 나를 믿고 신뢰하는 용기를 가질 때, 무기력은 나에게서 이별을 고할 것이다.


가짜 행복의 뒤를 쫓지 말고,

진짜 나를 찾는 시간을 쫓아라.

- 에리히 프롬 -


에리히 프롬의 <나는 왜 무기력을 되풀이하는가>를 참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