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하거나 잘하는 일도 아닌데 혹시 이렇게,

▷'세상은 하고 싶은 것만 하고 살 수는 없지'라든지,

▷'먹고살려면 어쩔 수 없잖아!'라고,

스스로 생각하면서 출근대란 속에 몸을 맡기고 있지는 않나요?


혹시 당신의 재능은 다른 것인데, 인사부서에서 판단한 적성과 재능으로 진로가 결정되진 않았나요?

나는 노력하며 정말 열심히 살고 있는데, 그만큼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나요?

그러면 정말 계속 이렇게 노력하면 결과가 나올까요?


위에서 말한 모든 일들은 자신의 재능을 발견하지 못해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실 모든 사람들은 각자 자신의 개성과 재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지 그것을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에 자신이 원치 않는 일을 매일같이 하거나, 아무리 노력해도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는 것이죠.


일본 최고의 재능 컨설턴트인 가미오카 신지는, 재능을 발견하지 못한 사람의 삶은 시시해질 수밖에 없다고 이야기합니다.

사람은 인생의 가장 많은 부분을 일을 하며 살아갑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자신의 재능과 일을 연결해 인생을 더 행복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이미 자신의 재능을 찾았다면 더없이 행운이지만, 아직 자신의 재능을 찾지 못했다면 도대체 어떻게 찾아야 할까요?


가미오카 신지는 20년간 재능을 발견하고 그 재주를 폭발시키며 발휘한 125명의 유명인을 분석해 이 책을 썼습니다. 그가 말하는 여러 가지 중에서 중요한 방법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1) 성공한 사람 옆에서 재능을 찾아라


뛰어난 개성이나 재능을 가진 사람 곁에 있으면 재능을 꽃피울 수 있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가까이 있는 사람은 쉽게 모방할 수 있기 때문인데, 성공한 인물 중에는 이 방법을 사용해서 자신의 재능을 발휘한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미 성공한 인물의 제자나 파트너가 된 사람들 안에서 성공한 인물이 많이 나오는 건 당연하지요. 성공을 직접 한 번이라도 경험해보는 것은, 경험해보지 못한 것과 매우 큰 차이를 지니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단 다른 사람을 흉내 내서 경험을 쌓아본 후에 자신의 것을 쌓아 올리는 것이죠.


2) '나도 할 수 있겠다' 싶은 분야에서 찾아라


무엇을 보고, '어~ 이 정도는 나도 해볼 수 있겠는데?' 혹은 '저 정도면 나도 스스로 어떻게든 해볼 수 있을 것 같은데?'라고 생각이 든 적이 있나요?


이것은 자신의 재능을 찾는데 매우 중요한 신호입니다. 이 신호를 절대 흘려보내지 마세요. 많은 프로들은 아마추어 시절에 다른 프로들의 작품이나 무대를 보고, '저 정도보다는 내가 더 잘하겠는데?'라고 생각한 적이 있다고 합니다.

이 감정을 '자기 효능감'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동기를 일으키는 방아쇠 역할을 하는 중요한 감정입니다.


3) 어린 시절 좋아했던 것에서 재능을 찾아라


어렸을 때 좋아했던 일이 있었나요?

그런 일들은 나이가 들어갈수록 사회가 만들어 놓은 잣대로 평가받으면서, 서서히 개성 없고 획일적인 일들에 묻혀 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잘 살펴보면 어린 시절 좋아했던 일에서 자신의 재능이 숨어있을 경우가 많습니다.


일례로, 어렸을 때부터 조용하고 눈에 띄지 않는 소녀가 있었습니다. 그녀가 좋아하는 일은 정리를 하는 것. 너무 정리를 좋아해 엄마가 '정리 변태'라고 부를 정도였죠. 이 소녀는 커가면서도 자신의 정리 습관과 청소 습관을 더 키워갔습니다.


그리고 성인이 되어서는 자신을 '정리 컨설턴트'라고 정의한 후, 다른 사람의 정리를 도와주기 시작했습니다. 이름은 곤도 마리에. 그녀의 책은 일본뿐 아니라 전 세계 39개 국에서 번역되어, 지금은 세계에서 가장 잘 나가는 정리 컨설턴트가 되었습니다.


그러면 자신의 재능을 찾고 나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당장 실행 계획을 짜고 직접 도전해보는 것입니다. 해보지 않으면 정말 이것이 자신의 재능인지 아닌지 알 길이 없습니다. '저건 나라도 할 수 있겠다'라고 생각해도, 실제로 해보지 않으면 결국 자신의 상상 속에서만 머물기 때문입니다.


더 다양한 재능을 발견하는 방법과 재능을 발견해 가진 재주를 발휘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싶다면, 책 <결국 재능을 발견해낸 사람들의 법칙>을 읽어보세요.


나를 바꾸는 시간 <셀프메이드>를 참고


1) 무작정 ~~~한다


영화 '아메리칸 소림'은 프린스턴 대학을 중퇴하고 무작정 소림사로 떠난 남자 맷 폴리가, 직접 자신의 경험담을 써서 영화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어린 그에게 중요했던 건, 실패에 대한 두려움보다 새로운 것에 대한 앞뒤 안 가리는 호기심이었다. 그는 사실 전형적인 약골이었는데, 그 점이 오히려 맷을 세계 제일의 영웅을 꿈꾸는 아이로 만들었다. 맷은 슈퍼맨, 터프가이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늘 했고, 열아홉 살이 되자 쿵푸의 대가가 되기 위해 떠난 것이다.


사람들은 학교를 중퇴하고 훌쩍 떠나 1년이 넘는 시간을 낭비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맷에게 다른 사람들의 생각은 아무 의미도 없었다. 오히려 쿵푸 대가는커녕, 몸이 부서지도록 맞기만 했어도, 그에게는 충만한 시간이었다.


스스로 약하다는 생각을 극복한 것은 물론, 소림사 경험을 발판 삼아 '작가'라는 새로운 세계에서 꿈을 펼치게 되었으니까...


2) ~~~에 투자할 시간을 만든다


맷의 이야기를 듣고 열아홉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무일푼 배낭여행도 대학생이라 가능하다고 여기는 사람에게 무작정 시작할 용기를 내라는 건, 달리는 기차에서 뛰어내리는 것만큼 어렵고 두려운 일이 맞다.


그렇다면 먼저 투자할 시간을 만들자.

그리고 '진짜 뭔가'에 몰입할 수 있는 1시간을 확보하는 게, 바로 두 번째 방법이다.


그 방법은 조지타운 대학의 Cal Newport 교수가 알려주는 '고정된 생산성 스케줄'을 따르면 된다.


▷퇴근하고 싶은 시간을 정한다. 그러면 몇 시간을 일할 수 있는지가 나온다.


▷그 시간 안에 해야 할 일을 우선순위에 따라 적는다.

워라밸을 원한다면 더더욱 그렇다. 정하고 나면 어쩔 수 없이 몸이 효율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오후 6시를 퇴근 시간으로 정하고 일과를 적고 나면, 산더미 같은 업무도 빠르게 통제할 수 있게 된다. 믿어라.


▷하루에 적어도 1시간은, 될 수 있으면 아침 시간에 '불가침 시간 Protected Time'을 갖는다. 방해 요소를 완전히 차단하고, 일에 몰입할 수 있는 '딥 워크 Deep Work' 시간이다. 이때는 이메일, 전화, 회의 등은 모두 차단해야 한다.



오후에는 온갖 사고가 날 수 있다. 뇌가 가장 활발하고 명민하게 돌아가는 시간은 잠에서 깬 후 2.5~4시간이라고 한다. 이때 가장 중요한 업무를 하면, 그날의 오후는 여유롭게 보낼 수 있다.


내 책상에 중요하지 않은 잡다한 업무가 수북이 쌓이는 것을 막지 못한다면, 영원히 이메일, 전화, 회의의 늪에서 빠져나올 수 없다.


3) 5%의 시간을 미친 짓 ~~~에 투자한다


인생에 확신을 갖는다는 건 어쩌면 시도해보고 인정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것인지도 모른다. 평생이라는 시간 동안 원하는 모든 것을 시도하고 실험하는 것, 그 과정에서 '해보니까 별거 아니네!' 또는 '예술은 재능이라던데 그 말이 맞구나!'하며 인정을 하다 보면, 지금의 내 선택에 확신이 생기고 자신감이 샘솟을 테니...


그리고 그 과정에서 '절대 포기할 수 없는 것'이 생기기도 하는데, 그게 바로 남은 내 인생을 더 밝고 생기 있는 에너지 가득한 삶으로 만들어줄 동기인 것이다.


이미 그것을 찾았다면 정진하면 될 것이고, ~~~을 아직 찾지 못했다면 하루 5%의 시간을 미친 짓에 투자해보는 거다. 운동을 해도 좋고 다른 공부를 해도 좋다. 종이로 학이나 장미, 거북이를 접어도 좋다.


남들이 미쳤다고 하는 것일수록 '다 큰 어른이...'라는 말을 듣는데도 나의 가슴에서는 만족한 신호를 보낸다면, 그건 내 인생의 확신에 가까이 가고 있다는 증표다.


시작하는 방법은 그만 말하고,

이제 행동하는 것이다.

- 월트 디즈니 -


내 삶에 확신이 필요한 분은 책을 통해 자기만의 방법을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세상에서 가장 발칙한 성공법칙>과 <지식을 말하다>를 참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