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아가면서 가장 많이 겪는 경험 중 하나는 바로 '비교'.

그리고 비교를 겪어보고 하는 말, '쟤는 쟤고, 나는 나야'.


이런 말을 머리로는 이해하지만, 당장 내 경력만 훑어보면 경쟁에서 뒤처질까 비교를 멈출 수가 없다. 그런데 이렇게 비교를 계속하고, 그대로의 자기 자신을 인정하지 않을 때 고착되는 심리 증후군이 있는데, 그것이 '사기꾼 증후군'이다.

가면증후군 (사기꾼증후군)

假面症候群, Imposter Syndrome

유능하고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사람이 자신의 능력에 대해 의심하며, 언젠가 무능함이 밝혀지지 않을까 걱정하는 심리 상태를 가리키는 용어. 자신의 성공이 노력이 아니라 운으로 얻어졌다 생각하고, 지금껏 주변 사람들을 속여왔다고 생각하며 불안해하는 심리이다. 


미국의 임상심리학자 Pauline Clance와 Suzanne Imes에 의해 1978년 명명된 용어이며, 충분한 능력이 있고 많은 업적을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실제로는 무능하며, 언젠가는 사람들이 이런 사실을 알게 될 것이라고 걱정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에 오른 사람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며, 특히 성공한 여성들에게서 흔히 나타난다. 가면증후군은 정신장애로 분류되거나 진단 기준을 가지고 있지는 않으나, 심리학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고, 성격 특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는 전통적인 관점에서 특정한 상황이나 사건에 의해 유발된다는 방향으로 해석이 변화되었다.


무능해 보일지 모를 진짜 나를 속여 '가면 쓴 나'로 살아가려는 심리 증후군이다. 이 증후군은 치열한 경쟁을 거치고 사회생활에 갓 들어온 사람들에게 유독 심하게 나타난다.



'남들이 기대하는 이상적인 나'에 압도되어 뭐하나 제대로 하지 못할 때가 많은 건, '가면을 쓴 나'의 입장에서 실패하는 자신의 모습을 용납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간혹 운이 좋아 남들이 기대하는 모습, 가면을 쓴 나로 성공을 거머쥘 순 있겠지만, 그런 성공은 개인과 조직에 별로 이롭지 못한 결과를 안겨줄 수 있다. 개인은 자신을 구현하는 삶을 살지 못하고, 조직은 실패를 용인하지 못하는 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이 '사기꾼 증후군'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미국 비즈니스 리더십 코칭을 대표하는 시그모이드커브 Sigmoid Riding The Curve 컨설팅 대표이사이자 심리학자 해럴드 힐먼 Harold Hillman은 이렇게 제안한다.

'자신의 취약성을 인정하라.'


자신이 가면을 썼다고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그 취약성을 특히 두려워하는데, 이것은 광장공포증 환자가 안전한 집 밖으로 나서기를 두려워하는 것과 같다.


그들에게 취약성이란 언젠가 불안과 함께 자신을 파괴할 기회를 노리는 괴물처럼 보이는 것이다. 이 괴물을 피할 가장 안전한 곳은 바로 '가면을 쓴 나'이다. 하지만 약점이란 사실 호흡과 같이, 살아있는 동안 너무나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자신에게 심각하게 불안감을 주는 대상으로 생각해선 안된다.


취약성을 두고 대처해야 할 태도는 이렇다.

'불완전한 자신에게 어떤 계획을 짜봐도 우리는 여전히 불완전하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모든 것이 불완전한 우리라도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사실이다.'


"사기꾼 증후군은 신종 질환이 아닙니다. 감기처럼 흔한 것이죠. 감기처럼 증상을 치료할 수도 있고, 재발률을 떨어뜨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혹시 사기꾼 증후군이 있다면, 호흡을 거부하지 않듯이 약점도 거부하지 말아야죠.


그저 자기다운 모습으로 천천히 앞으로 한 걸음씩 사회에 드러내는 것부터 시작해보세요. 우리 모두에게는 한계가 있습니다. 화를 내기도 하고, 가끔 못난 사람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런 약점 역시 삶의 일부일 뿐, 다른 사람에게 보이는 약점은 아닌 거죠."


자신의 취약성을 인정하고 자기다움으로 성장하는 것, 그것이야말로 사기꾼 증후군을 물리칠 최고의 전략임을 잊지 말자.


해럴드 힐먼의 <사기꾼 증후군>을 참고

유리창이 깨진 건물, 지저분한 낙서로 가득한 벽, 얼마 지나지 않아 분명히 앞에 쓰레기로 가득해질 것이다. 그저 귀찮아서 깨진 유리창을 그냥 뒀을 뿐인데... 어느새 쓰레기 더미가 되어버리는 것.

이것을 '깨진 유리창의 법칙'이라고 부른다.


1984년 뉴욕 지하철.

열차 안팎은 낙서로 뒤덮여 있고, 1년에 15,000건 이상의 강력범죄가 발생하며, 매일 25만 명의 사람들이 무임승차를 하고 있었다. 뉴욕의 범죄 중 90%가 지하철에서 일어났다.


그런데 1988년 뉴욕 지하철의 강력범죄가 80%나 감소하는 놀라운 일이 벌어진다.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뉴욕 경찰은 아주 사소한 일부터 시작했다. 낙서를 지우고 청소를 했다.

그리고는 놀라운 결과를 만들어 냈다.


우리는 무언가를 이루기 위해서는 큰 것을 바꿔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사소한 노력이 사람들의 심리를 움직여 진정한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당신의 주위를 둘러보라.

책상과 주변이 지저분 한가?

쓰레기통이 넘치고 있는가?


지금 당장 꼭 바꿔야 할 한 가지를 찾아보라.

그리고 그걸 바꿔보라.

당신에게도 놀라운 변화가 찾아올 것이다.


깨진 유리창 이론 Broken Window Theory


깨진 유리창처럼 사소한 것들을 방치해두면, 나중에는 큰 범죄로 이어진다는 범죄 심리학 이론.

1982년 James Wilson과 George Kelling이 월간 잡지 책 'Atlanta'의 심리 상담 섹션에 발표하면서 명명한 이론이다.


건물 주인이 건물의 깨진 유리창을 그대로 방치해두면, 지나가는 행인들은 관리를 포기한 건물로 판단하고 돌을 던져 나머지 유리창까지 깨뜨리게 된다. 나아가 그 곳에서는 절도, 강도 같은 강력범죄가 일어날 확률도 높아진다.


‘깨진 유리창 법칙’은 깨진 유리창 몇 장과 같은 작은 부분이 도시를 무법천지로 만들 수 있는, 도시 치안 유지라는 큰일을 망칠 수도 있음을 뜻한다.



시작부터 너무 열심히 열정을 쏟다가 금방 식어버리는 많은 이들을 위한, 쉽게 포기하지 않는 방법은 없을까요?


장거리 마라톤 출전 선수가 처음부터 있는 힘껏 달려나간다면, 대부분 곧 뒤로 밀려날 것은 뻔한 이치입니다. 우리 삶 속에는 단거리 경주가 있는가 하면 장거리 레이스도 많습니다. 특히 대기업이나 철밥통 영역에 속하는 집단에서는, 단거리보다는 장거리 선수가 유리한 경우가 많지요.


무엇을 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욕망이 강해지면 금방 지치기 쉽습니다. 자신의 모든 감각을 집중해 처음부터 너무 많은 에너지를 소모한다면, 머지않아 기운이 빠지게 되지요. 능력보다는 의욕이 앞설 경우에도 심신이 경직되며 기운도 굳어버립니다. 기운이 막히면 될 일도 안되는 게 우리 삶입니다.


때로는 형체도 없는 운명 같은 끌림으로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가 강해지기도 합니다. 승부에서 이기고 싶은 욕구가 강해질 때도 많지요. 하루빨리 소위 일취월장하고 인정받아 승리하거나, 일의 성과를 내고 싶어집니다.



그렇지만 기대가 크면 실망도 더 커지기 마련인 것처럼, 처음부터 모두 잘 할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처음부터 잘 되는 사람도 있지만, 그런 사람을 부러워하거나 의식할 필요는 없겠지요. 어떤 분야에 도전한다면, 이미 그 분야를 꿰뚫은 정통한 사람은 늘 있기 마련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그것을 따라잡기 위해 마음이 급해지면, 더욱 노력하게 됩니다. 그러나 그럴 경우 실패는 정해져 있을 때가 많습니다. 어떤 일이든지 단번에 만족할만한 성과를 낼 수는 없기 때문이지요. 의욕이 과하면 기대는 커지고, 또 노력에 대한 보상 심리 때문에 그 결과에 대해 더욱 화가 나고 더 빨리 좌절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고는 포기해버리고는 합니다.


성공은 최종적인 것이 아니며

실패는 치명적인 것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지속하고자 하는 용기다.

- 윈스턴 처칠 -


열심히 하는 사람을 보면 그걸 격려하거나 인정해줄 것 같지만, 현실에선 반드시 그렇지 않은 경우도 대단히 많습니다. 오히려 너무 빨리 배우거나 성과를 낼까 봐 두려워하는 경우도 많지요.


유능한 인재는 언제나 동료를 가장한 주변의 경쟁자들을 긴장하게 만듭니다. 그리고 그런 불안감은 조만간 어떤 형태로든 표출됩니다. 튀어 오르면 내리 찍히는 것 또한 조직의 생리 중 하나이겠지요.


시험받지 않는 삶은 가치가 없다.

- 소크라테스 -



목표를 높게 잡고 그에 맞춰 노력하는 것은 존중받아 마땅한 자세입니다. 그러나 의욕과 능력의 차이가 벌어질수록 더 빨리 지친다는 것과, 처음부터 너무 강렬한 기운을 풍기면, 경쟁자들의 먹잇감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항상 주의해야 합니다.


하려던 일을 어떤 내외부적 요인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그만두어야 하는 것을 '포기'라 합니다. 포기는 지배 당하고 억눌리는 기운을 말합니다. 조급함으로 인해 그것을 포기하고 단념해버리면, 아무리 뛰어난 재능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할 것입니다.


지금 선택한 일을 진정으로 좋아하고 잘 할 수 있더라도, 처음부터 과속 페달을 급하게 밟는 것은 신중하지 못한 태도입니다. 무엇보다 자신의 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차례의 패배를

최후의 패배로 혼동하지 말라.

- 스콧 피츠제럴드 -


우리가 살아가면서 겪는 역경이라는 눈보라는, 그 당시에는 정말 영원히 계속될 것처럼 보입니다. 노력할 때마다 도저히 이겨낼 수 없을 정도의 눈보라가 몰아치기도 합니다. 당장이라도 포기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겠지요.


그러나 흐름이 예고 없이 바뀌는 경우는 많습니다. 더 이상 안될 것 같고 모든 것이 싫어지면서, 이제 정말 끝이라고 생각되는 순간에 흐름이 바뀌는 경우도 많습니다.

우리의 미래는 냉정한 평가보다는, 낙관적인 관점을 더 옹호한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하세요.


눈보라는 영원히 계속되지 않는다.

그저 그렇게 보일 뿐이다.

- 레이 브래드버리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