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에 돈을 버는 공식이 있다.
카지노를 상대로 수십만 달러를 벌게 해주는 공식이 있고, 주식 시장에서 수억 달러를 벌게 해주는 공식도 있다.

‘퀀트 Quant’라 불리는 사람들이 이 공식을 찾는데 기를 쓰고 있다. 공식을 찾은 사람이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하기도 했고, 그 노벨상 수상자가 자신의 공식을 과신해서 수십억 달러를 날리기도 했다.
세계적인 금융회사에서 이 퀀트들은 하루에 수십억 차례 거래를 진행하며, 지금도 돈을 어디론가 끌어당기고 있다.

책 <인공지능 투자가 퀀트>를 통해 이들 퀀트의 세계를 살펴보고, 그 곳에서 우리가 배울 점이나 컨닝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퀀트는 Quantitative Analyst를 줄여 부르는 말로, 금융시장에서 수학과 통계를 사용하여 투자를 결정하는 사람을 말한다.

책의 저자 권용진 퀀트는 자신의 경험과 함께 퀀트의 역사를 소개한다.
그도 고등학생 시절 처음 자신만의 공식을 사용해서 용돈을 벌었다. 게임에서 캐릭터가 자동으로 사냥을 해서 돈이 되는 장비를 줍는 프로그램을 만든 것이다. 무작위로 길을 걷게 하고, 체력이 떨어지면 약을 먹게 하는 공식을 적용했다.
게임회사에서 외부 프로그램을 금지해서 저자는 이걸 중지했지만, 이후 그는 이 경험을 면접 인터뷰에 활용해 퀀트로서의 커리어를 시작하게 된다. 퀀트의 역사도 이와 비슷했다.

 


최초의 퀀트라 불리는 사람은 카지노 게임 블랙잭의 승리 공식을 만든 에드워드 소프이다. 당시 블랙잭의 승률은 45%라고 알려져 있었다. 오래할수록 카지노가 돈을 딸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소프는 카드를 기억하고 확률을 잘 계산해서 게임을 하면, 승률을 53.6%로 올릴 수 있음을 알게 된다.

소프는 직접 카지노로 가서 공식을 실험해보고 공식이 먹혀 들어감을 확인했다. 몇 시간 만에 수만 달러를 벌었다.
승리 공식으로 유명해진 소프는 추후에 카지노 측으로부터 출입금지를 당한다. 결국 소프는 더 큰 시장인 주식시장을 바라보게 된다. 그는 그곳에서 큰 돈을 벌며 세계 최초의 퀀트가 되었다.

소프의 성공을 보고 각 분야의 천재들이 주식시장에 들어왔다.
물리학을 공부하던 피셔 블랙은 경제학 박사였던 마이런 숄즈와 함께 ‘블랙-숄즈 공식’을 만들어낸다. 이 공식으로 블랙은 골드만삭스에서 돈을 쓸어 담고, 숄즈는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그래도 누군가는 주식시장을 이렇게 표현할 것이다.
주식 가격에는 이미 세상의 모든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주식이 오를지 내릴지는 50대 50으로 무작위적이다. 주식에는 공식이 없다. 이를 ‘효율적 시장 가설’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시장에는 분명히 비효율이 존재하고, 퀀트들은 이를 활용해 돈을 벌 수 있다고 말한다. 시장에 잠시 존재하는 이 틈을 퀀트는 ‘알파’라고 부른다.
어떤 퀀트는 법의 사각지대를 교묘하게 이용하여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퀀트들은 컴퓨터 공학, 통계학, 금융 공학을 활용해서 합법적으로 그 틈을 찾고 있다. 그리고 현재는 자동으로 주식을 거래하는 인공지능을 개발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마이더스, STAR 등으로 불리는 인공지능이 천문학적인 돈을 벌었고 그 결과 연봉으로 1조~2조 원을 받는 퀀트들이 생겼다.

또한 저자는 퀀트 생활을 하면서 어떤 공식을 찾아 인공지능으로 만들었는지 소개해준다.
회사는 분기마다 실적을 발표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실적 발표 전이면 항상 주식 가격이 요동을 친다. 사람들이 지나친 기대를 하거나, 지나친 공포를 느끼기 때문이다.

저자는 실적 발표가 좋을지 나쁠지는 예상하기 어렵지만, 실적 발표 전에 나타나는 사람들의 패턴은 어느 정도 공식화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또한 가격의 변동 폭이 회사의 산업군에 따라 규칙이 있음을 확인했다.
저자는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만들고 시장에 적용하여 회사 수익에 도움을 주었다.

 


이처럼 세상에는 돈을 버는 공식이 존재한다.
하지만 저자는 공식을 무조건적으로 믿는 태도를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그것은 2가지 이유 때문이다.

1) 확실한 공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위에서 말한 노벨상 수상자가 LTCM이라는 헤지펀드 회사를 만들었다. 전 세계의 돈이 투자금으로 모여들었고, 그는 400%의 수익을 올리며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그의 공식으로는 확률이 0%였던 사건이 터졌다. 바로 러시아가 파산한 것.
정부는 구제금융을 투입했지만 LTCM은 파산하고 말았다. 공식이 정확하다고 자만해서는 안 된다는 교훈을 남긴 것이다.

 


2) 영원한 공식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누군가 발견한 틈은 경쟁자가 나타나면서 조금씩 사라진다. 오히려 내 공식을 역으로 이용해 돈을 버는 저격수도 생겨난다.
그래서 퀀트들은 자신의 공식이 잘 먹히는지 늘 감시하고 조절한다.

우리가 일하는 산업에서도 알파라고 불리는 시장의 틈이 존재할 것이다.
그 틈은 창업의 기회가 되기도 하고, 투자의 기회가 되기도 한다. 어쩌면 우리는 가만히 앉아있어도 돈을 벌어주는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책은 경고도 전달하고 있다. 공식을 맹신하거나 남이 말한 성공의 공식에 홀려버리면, 그 동안 벌어놓은 수익을 합친 것보다 더 큰 손해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더 저렴하고 잊고 사는 정기배송


그러면 공식을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통계와 수학을 모르더라도 데이터들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한 안목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자신의 분야가 금융이 아닌 과학이나 예술, 스포츠 등 어떤 분야든, 그 속에 있는 데이터를 볼 줄 알아야 한다.
누구나 자신의 분야에서 퀀트가 되어야 한다.

권용진 저 <인공지능 투자가 퀀트 : 알고리즘, 세계 금융시장을 침공하다> <책그림>을 참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