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젊은 사람들이 직장을 고를 때 가장 많이 고민하는 요소는?

연봉? 승진 가능성? 잘 나가는 대기업?

그 답은 바로 Work & Life Balance, 워라밸이란다. 우리말로 ‘일과 생활의 균형’쯤 되나?


과거에는 돈을 많이 버는 것이 최고라 여겼고, 성공을 위해 가정을 팽개치고 건강을 희생했다. 그런 성공 추구 문화에서는 자신의 인생을 즐길 시간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확산됐고, 요즘 젊은 직장인들은 고생하면서 몇 푼 더 버는 것보다는 조금 덜 벌더라도 칼퇴 직장을 찾기 시작한 것이다.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하루 8시간 일하는데, 과연 그 일이 행복한 사람은 얼마나 될까나?

매일 아침 출근하는 월급쟁이들의 얼굴은 사실 별로 행복해 보이지 않는다. 정해진 월급을 받으며, 사장이나 오너를 위해 열심히 일하는 삶, 자신들 인생의 1/3을 소비하는 중요한 업(業)이다.


그들이 열심히 일해준 덕분에 사장이나 오너는 돈도 더 많아지고 시간도 훨씬 여유로워진다.

좀 더 행복하고 나은 삶은 어떤 삶일까?

일하는 시간보다 노는 시간이 많은 삶. 또는 남을 위한 일을 해주는 삶이 아닌,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는 삶이 아닐까?




워라밸을 추구하는 삶은 결코 풍요롭고 행복한 삶은 아니다. 워라밸이 좋은 회사는 흔히 야근을 하지 않는 회사, 즉 9시 출근에 6시 퇴근이라는 8시간 근무를 실천하는 회사를 뜻한다. 아침 7시에 일어나 오전 9시까지 출근하고 오후 6시까지 일한 후, 집에 와서 밥을 먹으면 저녁 8시가 된다.


11시에는 잠자리에 들어야 하니, 8시부터 11시까지 약 3시간이 자기 자신을 위한 시간이 된다. 24시간 중 딱 3시간이 진짜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시간인 셈이다. 그토록 원하는 워라밸 라이프는 우리에게 기껏 3시간의 자유시간을 줄 뿐이다.


일과 삶의 균형이라는 망상에서 벗어나야 한다.

월급을 버는데 시간을 쏟지 않으면, 24시간을 온전히 자신의 것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단순히 워라밸 좋은 회사에 다니면서 사장이나 오너를 위해 사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나의 시간을 나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지를 고민해야 한다.



30대 젊은 백만장자 롭 무어가 쓴 책 <레버리지>에서는 남을 위해 일하지 말고 돈이 자기 자신을 위해 일하게 하라고 이야기한다. 그 비법을 3가지 원리로 정리해보자.


1) 시간을 구분하자

시간은 크게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낭비된 시간 : 무의미하게 소모되는 시간

소비된 시간 : 연봉이 높더라도 남을 위한 일이고, 자기 자신에게는 별 가치가 없는 일을 하는 시간

투자된 시간 : 실제 노동은 하지 않더라도 수익을 올리거나, 가만히 있어도 수익이 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시간


우리는 낭비된 시간을 가장 먼저 없애야 하고, 그 다음 소비된 시간을 줄여나가야 한다. 그리고 투자된 시간을 확보해야 하는 것이다.


2) 과감하게 거부하라

생각하기에 가치가 없거나 보상이 형편없는 일이라면, 빨리 포기하는 것이 현명하고 용기 있는 행동이다. 그리고 쓸모 없는 일은 하기 싫다고 말해야 한다. 우리는 사회 선배들로부터 잡일을 부여 받는다.

오랜 사회생활로 능구렁이가 된 그들은 위임이라는 방식으로 자신의 일을 떠넘기는데, 그런 일들을 해주는 것은 그들의 인생만 가치 있게 만들어줄 뿐이다.


회식도 마찬가지다.

그것을 통한 인맥 형성이 내가 활용할 수 있는 인맥이 되지 않는다면, 회식 참여는 시간낭비일 뿐이다. 과감하게 거부해야 한다.


3) 중요한 일만 하라

자신에게 ‘이 일이 투자된 시간 대비 최고의 보상을 주는가?’를 끊임없이 되물어야 한다. 그리고 자신이 가장 높은 가치를 낼 수 있는 일에 집중하고, 가치가 높지 않은 잡일은 위임하거나 연기해야 한다.


과거 유명 만화가들은 자신은 스토리를 구상하고, 지루하고 반복적인 그림 그리기 작업은 문하생들에게 떠넘겼다.

그는 가장 핵심적 일이 스토리를 구상하는 것이라고 판단한 것. 우리 삶도 마찬가지다.

별 가치 없는 일들에 내 에너지를 쓰면 안되고, 미래에 큰 가치를 제공할만한 일에만 에너지를 집중해야 한다.


워라밸이 행복해질 수 없는 본질적인 이유와 워라밸을 넘어서 행복한 부자가 되는 방법을 알아봤다.

지금부터 경제적 자유를 위해 한걸음씩 전진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1) 시간을 구분하자

2) 과감하게 거부하라

3) 중요한 일만 하라


<BetterLife>를 참고




소확행, 가심비, 워라밸 시대.

2018년을 뒤돌아보면 대한민국이 <트렌드 코리아 2018>에서 제시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흘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소확행 : 자신만의 행복한 순간을 담은 사진이 소확행이라는 태그를 달고 각종 SNS에 올라왔고,

#워라밸 : 52시간 근무제와 함께 직장을 선택할 때 가장 먼저 생각하는 기준이 되었다.


그렇다면 <트렌드 코리아 2019>는 2019년을 어떻게 예측하고 있을까요?

김난도 교수는 2019년의 소비 흐름을,

"원자화, 세분화하는 소비자들이 환경 변화에 적응하며 정체성과 자기 컨셉을 찾아가는 여정"이라는 한 문장으로 요약했습니다.


컨셉, 밀레니얼 가족, 나나랜드, 감정 대리인, 뉴트로, 카멜레존, 데이터 인텔리전스, 매너 소비, 필환경 시대, 워커밸, 세포마켓, 

등의 키워드 중, 가장 인상 깊었던 2가지 키워드를 소개하겠습니다.


첫 번째는 '세포마켓'입니다.

인스타그램에 '마켓' 태그를 검색하면, 2018년 12월 기준 150만 개가 넘는 게시물이 나옵니다. 수천, 수만 명의 팔로워를 가진 인플루언서들이 저마다의 재능과 개성을 바탕으로 상품을 팔고 있는 것이죠.

유튜브의 크리에이터들은 이제 대형 유통기업, 방송사, 대기업과 협업하며 존재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소비자였던 사람들이 이제는 판매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각자 하나의 마켓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작지만 수없이 많은 시장이 만들어진다고 하여, <트렌드 코리아 2019>는 이를 '세포마켓'이라 부릅니다.




우리가 세포마켓에서 물건을 사는 이유는, 인플루언서들이 제품이 아닌 스토리를 팔기 때문입니다. 왜 그 제품을 만들게 되었는지, 왜 쓰고 있는지, 진솔한 경험을 통해 소개하기 때문입니다.

패션 인플루언서의 경우, 자신의 사진을 올리면서 자연스럽게 제품을 노출하고 코디 방법을 공유합니다.


재미있게도 이런 세포마켓의 가능성을 가장 눈여겨보고 있는 곳이 기존의 대형 유통 채널입니다.

인플루언서들은 이제 홈쇼핑 채널에 들어가 제품을 팔기도 하고, 화장품 업계와 손을 잡고 신제품을 같이 출시하는가 하면, 백화점까지 팝업 스토어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세포마켓이 잘 나간다 하여 무턱대고 뛰어들면 안 됩니다. 극심한 양극화가 있는 시장이기 때문입니다.

2017년 기준, 1만 명의 크리에이터 중 1억원 이상의 수입자는 단 1%였습니다. 100명 정도라는 이야기입니다. 이런 것을 '압정형 구조'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세포 중에 병든 세포가 있듯이 세포마켓에도 문제점이 있습니다. 현금 결제를 유도하거나, 교환이나 환불을 거부하는 등의 불법 거래가 이뤄지기도 하고, 가격을 비밀 댓글로 소통해서 매출을 속이고 세금을 적게 내려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입니다.

자정 작용을 거치든 제도를 통해서든 신뢰성 있는 생태계로 만들어 가는 것이 인플루언서와 팔로워 모두의 숙제가 될 것입니다.


<트렌드 코리아 2019>의 두 번째 키워드는, '내 마음을 부탁해. 감정 대리인'입니다.

자기감정을 스스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화났다, 슬프다'라는 감정을 말보다 이모티콘으로 대신하고 있습니다.


연애나 여행을 관찰 예능 프로그램으로 대신 경험합니다. 관찰 예능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 영상을 함께 시청하는 패널들입니다. 이들은 우리 대신 리액션을 해줍니다. 대신 놀라워하고, 웃고, 슬퍼합니다. 시청자는 자신과 비슷한 리액션을 하는 패널에 공감하면서 감정을 맡깁니다.


사람들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으로 대리 연애를 즐기고, 인터넷 방송을 보면서 명품 쇼핑을 대신합니다. 페이스북에는 대신 화내주는 페이지, 대신 욕해주는 페이지가 인기입니다.

<트렌드 코리아 2019>는 이렇게 감정을 대리해주는 사람이나 상품, 서비스를 '감정 대리인'이라 명명했습니다.



왜 우리 주변에 감정 대리인이 많아진 걸까요?

우리가 감정 해피밀에 익숙해졌기 때문입니다. 연애 리얼리티를 통한 대리 연애는 간질간질한 달콤함은 느낄 수 있으면서도 실연으로 가슴 아픈 일은 없습니다. 영화에서 중요한 인물이 죽으면 펑펑 울 수 있지만, 영화관을 나서면 없었던 일이 됩니다.


감정 대리인을 통해 적당히 소비되는 감정은 적당히 즐겁게 식사를 해결하는 해피밀을 먹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패스트푸드만 먹으면 건강에 좋지 않은 것처럼 감정 해피밀만 먹는 것에도 부작용이 따릅니다. 사람들은 드라마와 같이 갈등은 금세 해소되고, 늘 행복감으로 마무리되는 감정생활을 원합니다.


SNS에는 긍정적인 감정만 가득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드라마도 SNS도 아닙니다.

현실에는 힘든 일, 슬픈 일, 불편한 일도 있으니, 우리는 그런 감정도 받아들이고 소화할 줄 알아야 합니다.


<트렌드 코리아 2019>는 트렌드라고 무작정 따라가라고 하지 않습니다. 그에 앞서 자기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하지요.

세포마켓에 뛰어들기 전에 자신이 경쟁에서 이길 만큼의 브랜딩을 갖출 수 있을지 고민해봐야 하고, 감정 대리인을 즐기기 전에 자신이 감정 해피밀만 즐기고 있는 건 아닌지 되돌아봐야 합니다.


부작용을 상쇄하면서 흐름을 자신의 장점에 맞춰나가는 것이 트렌드를 진정으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입니다.


함께 비교하며 읽으면 좋은 글

소비 트렌드와 소셜미디어 - 트렌드 코리아 2018

https://blog.naver.com/ishipworld/221150628708


김난도, 이준영, 이향은 외 6인의 <트렌드 코리아 2019>을 참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