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의 자율주행 차 시대.

세상에 공짜는 없다는데, 그 시대도 그냥 공짜로 우리한테 올까? 자, 그러면 내 차를 하나 골라보자.


내 차는 내가 결정한다고?

“자율주행 차의 위기 상황에 대한 대응 프로그램을 직접 선택해주세요.”


상황#1 직진하면 여러 명이 사망하게 됩니다. 방향을 바꾸면 한 명만 사망하게 됩니다. 어떤 것으로 프로그래밍 할까요? ⇒ 그거야 선택의 여지가 있겠어요? 당연히 방향을 바꿔서 희생자 수를 줄여야죠.


상황#2 직진하면 보행자 여러 명이 사망하고, 방향을 바꾸면 운전자가 사망합니다. 당신의 차를 어떻게 프로그래밍 할까요? ⇒ 보행자 우선? 운전자 우선? 와~ 어떻게 하지? 여러 명을 살리자고 나를 희생하는 건 좀 아니잖아? (운전자 한 명이 낫지! 여러 사람 죽일거야? 돌대가리에 븅~신 같은 인공지능(사람?), '그 자리에 정지하는 선택'은 왜 없나?)




어렵다! 어려워~!

그냥 차를 사지 말고 이대로 살자.

여러분이라면 어떤 선택을 하겠는가?

제3자라면 당연히 다수의 희생보다는 소수의 희생을 선택할 것이다. 하지만 자신이 운전자가 되면, 그렇게 쉬운 문제가 아니다.


프랑스 툴루즈 고등연구소의 장 프랑스와 보네퐁 Jean-Francois Bonnefon 교수는 이 문제에 관해 설문조사를 했는데, 76%가 보행자 10명 대신 운전자 한 명을 희생하는 쪽이 더 도덕적이라 판단했다.

반면 이렇게 보행자 보호 모드로 프로그램 된 자동차를 구입하겠냐고 물었을 때는 50%가 동의하지 않았다.


‘당연하지! 자동차는 운전자의 안전이 최우선이라고!’

하지만 본인이 보행자여도 그런 선택을 할까? 이 문제는 ‘트롤리 딜레마 Trolley Dilemma라고 하는 유명한 윤리 논쟁에 뿌리를 두고 있다. 트롤리란 흙이나 바위 등을 운반하는 일종의 화차를 말한다.


영국의 윤리 철학자인 필리파 푸트 Philippa Foot (1920~2010)가 처음으로 제안한 것을, 하버드 대학의 마이클 샌델 Michael Sandel (1953~) 교수가 <정의란 무엇인가 Justice> 책에서 언급해 화제가 되었다.


“브레이크가 고장 난 트롤리가 달리고 있습니다. 선로 위에는 5명의 인부가 일을 하고 있고, 이대로 두면 그 5명은 반드시 죽게 됩니다. 방법은 단 하나, 선로 변환기로 트롤리의 방향을 바꾸는 거죠. 그런데 다른 선로 위에는 한 명의 인부가 있습니다. 당신은 트롤리의 방향을 바꿀 건가요?”


당연히 다수의 희생보다는 소수의 희생이 낫지 않겠어요? 이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85%가 방향을 바꿔야 한다고 답했다.


“네, 이번에 당신은 육교 위에서 고장 난 트롤리가 5명의 인부를 향해서 달리는 걸 목격하죠. 당신 옆에는 뚱뚱한 사람 한 명이 있을 뿐입니다. 당신은 몸무게가 적어 육교에서 떨어져도 트롤리를 멈추게 할 수 없죠. 뚱뚱한 사람을 떠밀 경우 확실히 트롤리를 멈추도록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 뚱뚱한 사람을 육교 아래로 떨어트리겠습니까?” 


천만에, 그건 살인이죠! 이 문제에 대해 응답자의 78%가 뚱뚱한 사람을 육교 아래로 밀어서는 안 된다고 답했다.

다수를 위해 소수를 희생하는 것이 때로는 합리적으로 보일 때도 있다. 하지만 단순히 생명의 숫자를 기준으로 도덕적 판단을 내리기는 쉽지 않다.


그런데 말입니다. 자율주행 차는 보행자 안전모드로 해야 할까요? 아니면 운전자 안전모드로 해야 할까요?

그 대답은 참 힘들다고나 할까? 에러 떴다!

Error~ Error!! 시스템 재부팅 중~~~!

급정지모드를 쌈빡하게 잘 만들어!


<EBSCulture>를 참고




우리는 많은 순간 거절을 해야 한다.

상사가 무리한 업무지시를 하거나, 친구가 보험 영업을 목적으로 접근하거나, 알고 지내던 사람이 갑자기 사귀자고 할 때나, 필요 없는 비즈니스 제안이 들어왔을 때, 우리는 거절하고 싶다.


살면서 수많은 거절의 상황을 마주하게 된다. 승낙을 하는 경우보다는 거절을 하는 경우가 실제로 더 많다. 많은 거절을 거친 후 1번의 합격을 통해 취직하게 되는 것, 배우자를 만나기 위해 수많은 이성을 거절하고 거절 당하는 경우만 봐도 그렇다.


우리는 거절당하는 건 익숙하지만 정작 자신이 거절하는 것에는 서툴다. 거절은 가끔 큰 부작용을 가져오기도 한다. 현명하지 못한 거절로 우리는 친구를 잃을 수 있으며, 이기적이라는 원하지 않는 평판을 얻기도 하고, 비난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심지어 사랑을 거부하면 살인이 나기도 한다.

거절에 대한 부작용이 염려되기도 하고, 상대방에 대한 미안함 때문에 거절 자체를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기원전 4세기 중국에 귀곡자(귀곡선생)라는 인물이 있었다.

대중 유세와 처세술의 대가로 유명했고 사람의 심리와 설득에 아주 뛰어난 고수였다. 그는 거절은 승낙보다 훨씬 어려운 것이므로 거절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귀곡자가 말한 거절을 잘하는 방법이란, 상대방에게 상처를 주는 것이 아닌 착각을 심어주는 방식을 의미한다. 그러면 거절을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 솔직하고 분명하게 거절한다

분명하게 거절하면서 상대방이 내 입장에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솔직하게 자세한 속사정을 말해준다. 자세한 사정을 알게 되면 부탁하러 온 사람도 거절을 이해해주기 마련이다. 대부분의 거절은 속사정을 말해주지 않으면서 얼렁뚱땅 넘기려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거절당한 상대방은 더 기분이 나빠진다.


사실 부탁하러 오는 사람은 대부분 이미 거절을 예상하고 있다. 그러니 거절 자체로는 기분 나빠하지 않는다. 오히려 솔직하지 못하고 불분명한 의사표시에 기분이 상하는 것이다.


2) 거절의 타이밍을 잘 봐야 한다

거절은 될 수 있는 한 빨리 하는 것이 좋다. 그래야 상대방도 계획에 차질을 주지 않고 쿨하게 받아들인다. 우리는 부탁을 받으면 생각을 해보고 답변해준다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적절한 피드백을 주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후 답답한 상대방이 재차 물어볼 때, 그때에야 미안하다고 말하며 거절의 표시를 한다. 이런 경우 부탁한 사람은 그 동안 답답해왔던 마음에 화가 나기 마련이고, 쓸데없이 시간과 감정을 낭비하게 된다.


3) 상대의 의견을 존중하는 것이 먼저다

새로운 비즈니스를 제시한다면, 그 제안을 꼼꼼하게 들어보고 존중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너의 제안은 훌륭하고 고맙다. 다만 나는 현재 그것이 필요하지 않다’라는 어조다.

빨리 거절하는 것이 좋다고 상대의 말을 들어보지도 않고 거절한다면, 그 사람이 언젠가 당신에게 필요한 중요한 제안이나 아이디어를 가져다 주지 않을 수도 있다.


4) 거절을 하더라도 상대방을 생각한다

부탁을 거절하면서도 감정이 상하지 않도록 상대방을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는 것이다. 상대방의 강요에 못 이겨 억지로 부탁을 들어주는 것은 결코 상대를 위한 행동이 아니다.

비즈니스 제안의 경우엔 나는 필요가 없어서 거절하지만, 그 일에 적합한 새로운 사람을 추천해주는 것이 하나의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상대방을 진심으로 생각한다면, 거절을 하는 과정에서도 더 큰 신뢰를 쌓을 수 있다.


거절하면서도 사람을 잃지 않는 4가지 방법, 평소에 ‘나는 거절을 잘 못하는 사람이야!’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꼭 기억해두자.


<BetterLife>를 참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