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에서 사랑 받은 베스트셀러 동화 <거울 나라의 엘리스>는 주인공 엘리스가 거울 뒤 나라로 여행을 떠나는 이야기다. 소설 속에서 엘리스는 붉은여왕과 함께 나무 아래를 계속 달린다.


숨을 헐떡이며 엘리스가 붉은여왕에게 묻는다.

'계속 뛰는데 왜 나무를 벗어나지 못하나요? 내가 살던 나라에선 이렇게 달리면 벌써 멀리 갔을 텐데?'

붉은여왕은 대답한다.

'여기서는 힘껏 달려봐야 제자리야! 제자리에 있고 싶으면 죽어라 뛰어! 나무를 벗어나려면 지금보다 2배는 더 빨리 달려야 해!'


붉은여왕의 나라에선 어떤 물체가 움직일 때 주변 세계도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끊임없이 달려야 겨우 한 발 내디딜 수 있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미국의 진화생물학자 밴 베일런은 1973년 <새로운 진화 법칙>이라는 논문에서, '붉은여왕 가설'을 제기했다.

그는 생명체들은 모두 진화를 하는데 진화의 속도는 차이가 난다며, 다른 생명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화가 더딘 생명체는 적자생존에 따라 99% 멸종된다고 결론 맺었다.


'계속해서 발전하는 경쟁상대에 맞서 끊임없는 노력으로 발전하지 못하는 주체는 결국 도태된다!'라는 설명인 것이다. 어쩌면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도 동화 속 세상과 비슷해 보인다.

모두가 최선을 다해 앞으로 달려가지만, 제대로 나아가지 못한다. 주변의 경쟁자가 함께 뛰기 때문에 제자리걸음만 하는 것 같다.


붉은 여왕 가설(Red Queen's Hypothesis)

시카고 대학의 진화 학자 밴 베일런(Leigh Van Valen)이 생태계의 쫓고 쫓기는 평형 관계를 묘사하는 데 썼으며, 이러한 진화학적 원리를 '붉은 여왕 효과' (Red Queen Effect) 라고 불렀다.

진화학에서 주변 자연환경이나 경쟁 대상이 빠른 속도로 변화하기 때문에, 어떤 생물이 진화를 하게 되더라도 상대적으로 적자생존에 뒤처지게 되며, 자연계의 진화경쟁에선 어느 한쪽이 일방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원리는 진화론뿐만 아니라 경영학의 적자생존 경쟁론을 설명할 때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때로는 열심히 뛰어도 현상 유지는커녕 자꾸 뒤처지는 상황도 발생한다.

붉은여왕의 말처럼 제자리에 있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뛰어야 하는 게 인간의 숙명인지도 모른다. 주어진 환경을 불평하기보다 어떻게든 생존 방법을 찾아야만 한다.


독일 경제학자 클라우드 슈밥은 말했다.

"우리는 지금까지 우리가 살아왔고 일해왔던 삶의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꿀 기술혁명의 직전에 와있다. 이 변화의 규모와 범위, 복잡성 등은 이전에 인류가 경험했던 것과는 전혀 다를 것이다!"


한 치 앞도 예측할 수 없는 시대,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것들이 하루아침에 쓸모없는 일이 되어버릴 가능성이 높아졌다. 자칫하면 몇 년, 몇 십년 동안의 노력이 헛수고로 돌아가버릴지도 모른다.


불확실성의 시대, 우린 어떻게 생존해야 할까?

책 <무엇이 강자를 만드는가>는 인류의 생존 방식을 자연으로부터 배워야 한다고 말한다. 46억년을 유지해온 최고의 전략 교과서로 자연을 들여다보라고 강조한다. 오랜 시간 동안 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명체들은 변화와 적응을 통해 매번 새로운 전략을 찾아내며 지금껏 살아남았다.


한해살이 식물인 새콩은 어디서나 쉽게 볼 수 있는 잡초다. 농촌의 들녘, 길가, 밭 언저리 등에 살아간다. 새콩은 생존 위협을 피하려고 땅 위와 땅속에서 동시에 열매를 맺는다. 땅속에는 땅 위보다 2배나 큰 열매가 포함되어 있다. 만약 땅 위에서 자라는 열매들이 잘려나가더라도, 후손을 남길 수 있도록 '플랜B'를 만들어 놓은 것이다.


우리가 사소하게 여기는 잡초도 변화에 대비하는 나름의 생존 전략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사람들 역시 위기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플랜B를 항상 마련해둘 필요가 있다.


치타는 지구상에서 가장 빠른 동물이다. 전력 질주하면 시속 110Km 이상으로 달릴 수 있다. 치타는 사자나 하이에나가 잡기 어려운 가젤 사냥에 집중하기 위해, 콧구멍과 폐를 키우고 몸무게와 턱의 크기를 줄여 스피드를 높이는 몸의 형태로 진화했다. 하지만 스피드를 늘리는 전략을 사용하다 보니 빠르지만 지구력이 약해 오래 달릴 수는 없다.


반면에 가젤은 평균 시속 70~80Km로 달린다. 다른 동물에 비해 빠르게 달릴 수 있어서 사자나 하이에나 등으로부터 쉽게 도망갈 수 있다. 하지만 치타의 사냥 만큼은 쉽게 벗어나지 못한다. 가젤 역시 치타의 빠른 스피드에 대응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찾아 변화해왔다.


바로 통통 튀는 주법을 통해 방향 전환 기술을 가지고 있다. 가젤은 지그재그로 방향을 바꾸며 치타에게서 벗어난다. 이따금 퀵턴으로 완전히 방향을 바꾼다. 치타는 빠른 발을 가지고도 가젤 사냥에 성공할 확률은 70% 수준이다. 이들은 지금도 치열한 약육강식 세계에서 살아남으려 여전히 변화하고 있다.


생물을 힘의 세계로 구분 짓는다면, 인간은 나약한 종에 불과하다. 호랑이처럼 강력한 힘을 가지거나 악어처럼 강한 턱을 가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인간은 지구를 지배하는 만물의 영장이 되었다. 그 이유는 변화에 가장 적극적으로 적응하고 대응해왔기 때문이다.


직립보행으로 손을 자유롭게 쓴 결과 도구를 만들게 되고, 뇌를 활용하면서 생각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었다. 혼자일 때의 나약함을 이겨내기 위해 '소통과 협력의 전략'을 선택하면서, 집단의 힘을 활용할 줄 아는 종이 될 수 있었다. 온갖 위험 요소 속에서 살아남으려고 다른 동물과 구별되는 조그만 차이를 이용하고 개발한 결과다.


찰스 다윈은 말했다.

"살아남는 것은 가장 강한 종이나 가장 똑똑한 종들이 아니라, 변화에 가장 잘 적응하는 종들이다."


종종 사람들은 세상을 변화시키는 것에 대해 말한다. 하지만 그 누구도 자기 자신을 변화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관심을 갖지 않는다.


당신의 변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얼마나 하고 있는가?


정회석 저 <무엇이 강자를 만드는가> <북올림>을 참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