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6년 미국 연방수사관(FBI) 학교의 한 교수가, 식물도 고통을 느끼는 생물이라는 주장을 하면서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만들었다.

그는 거짓말 테스트 전문가였던 클리브 백스터 박사였다.


그는 어느 날 강의가 후 호기심으로 근처에 있던 화초에 거짓말 테스트기를 연결했다. 곧바로 잎사귀에 불을 붙이기 위해 성냥을 가져왔는데, 갑자기 거짓말 탐지기 기계의 눈금이 거칠게 움직이는 현상을 목격하게 된다.


그는 식물이 위협을 느껴서 움직인 것으로 생각하고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게 되는데, 잠시 후 놀라운 현상을 발견한다.


화초 앞에서 종이에 불을 붙인다는 생각을 하고 성냥을 켜면 평온한 상태를 유지했지만, 화초에 불을 붙이려는 생각을 하고 성냥불을 켜면 탐지기의 눈금이 거칠게 움직였다.

즉, 식물이 인간의 생각을 읽을 수 있으며, 자신이 위험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

탐지기의 눈금이 거칠게 움직이고 있을 때, 박사가 미안하다고 사과하자 다시 평온한 상태로 돌아왔다고 한다.




이후 그는 생물학 교수들에게 연락해서 본격적으로 실험을 진행했고 그 결과, 식물들은 인간의 생각만으로도 위험을 알아차릴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심각한 문제가 있다. 끝까지 읽어보자.)

또 다른 실험에서는 한 화분만 물을 주고 다른 화분을 죽게 만들었더니, 물을 잘 주었던 화분도 곧 말라서 죽었다. 그리고 자신의 운명을 감지한 듯, 물을 줘도 좋아지지 않았고 며칠 뒤 시들었다.


1968년 박사는 자신의 연구보고서를 뉴욕의 신문사에 전달했고, 당시 커다란 논란을 일으켰다. 반론을 제기하는 학자들도 있었지만, 실험결과를 보고 식물도 고통을 느낀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최근 2018년, 식물도 고통을 받으면 위험하다는 신호를 몸 전체에 보낸다는 사실이 명확하게 밝혀졌다???

미국 위스콘신대의 연구팀이 밝혀낸 사실은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만들었다. 그들은 잎에서 경고신호를 만드는 칼슘이온이 증가하면 형광색이 나타나도록 조치했는데, 통증이 발생하자 칼슘이온이 증가하면서 형광 물질이 퍼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식물이 반응하는 시간은 통증이 발생하고 2초 후였고, 신호는 1초당 1mm를 이동했다.


그리고 식물이 위험하다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스트레스 호르몬인 자스몬산이 공중으로 방출된다는 것도 알아냈는데, 방어태세에 돌입한 식물은 곤충들이 먹어도 소화를 제대로 할 수 없게 된다.

뿐만 아니라 식물의 세포벽도 두껍게 변화된다. 따라서 곤충은 씹기 어렵고 소화가 안 되는 식물을 떠날 수밖에 없다.


식물이 고통을 느끼고 사람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고 주장했던 백스터 박사의 연구 결과.

어쩌면 지구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은 인간과 다르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런데 식물은 어떻게 인간의 생각과 마음을 알아낼 수 있었던 것일까?

그런데~, 이 결과가 충격에 대한 단순한 전기신호 반응으로 실험 오류이며, 결과를 정해놓고 짜맞추기 실험을 했다는 주장도 있었다.




뜬금없이 2018년의 실험 결과만 툭 튀어나오는데, 좀 이상하다. 그 긴 세월 동안 식물 감정연구에 대해 아무것도 눈에 띄는 게 없다.

누구나 자신이 키우는 식물로 실험해보고 식물마다 또 꽃마다 어떤 차이가 있는지, ‘식물의 감정’에 대한 책들도 많이 나올만하고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것들을 알며, 각자가 식물이나 화분 선택에 써먹었을 텐데…?


상상을 좀 해보자.

코미디와 개그에 잘 반응하는 벚꽃, 슬픔에 감응하는 수선화, 소음과 소리를 좋아하는 개나리, 수줍음을 잘 타는 나팔꽃, 외로움을 즐기는 백합의 성격 등, 그 얼마나 다양한 소재와 인간과의 감성 소통이 많을까? 왜 이런 것들이 알려지지 않았을까?

결론적으로, ‘위의 실험은 엉터리고, 백스터 박사도 개구라!’라는 확신이 든다.


야채나 식물을 재배할 때 음악을 틀어주면 자라는 속도가 빨라지는 경우는 많이 보고되고 있는데, 이런 경우는 감정의 문제가 아니라 음악 소리에 의한 공기 진동과 그 진동의 연속성이 식물에 전달되어, 줄기의 상부로 물과 양분을 전달하는 과정을 도와주기 때문으로 설명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경찰한테 인기 좋은 ‘거짓말 탐지기’.

이제는 과학적으로 그 효과가 부정되는 쪽으로 방향이 잡혀가고 있다. 세계적으로 법원의 재판에서도 거짓말 탐지기 결과는 대부분의 경우 법정 증거로 채택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거짓말 탐지기는 수사관들이 범인을 겁박 내지 협박, 좋은 말로 심리적 압박을 가하는 효율적인 수단으로 전락했다고 할까?


<Better Mr.> <Amazing Story>의 공갈 내용을 참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