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난에 빠졌나요? 빚더미에 앉았나요?

컨설팅 회사 라이징선이 도와드립니다.

대책을 세우기엔 너무 늦었나요?

도망치거나 자살하는 길밖에 없다고요?

역시 라이징선에게 맡겨보세요!

절박한 사람들에게 새 삶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1990년대 일본에서 방영된 TV 드라마 <야반도주 사무소>에서는 절망에 빠진 사람들의 야반도주를 돕는 컨설팅 회사 라이징선이 등장했다. 이 드라마는 투기 광풍이 불던 도쿄 주식시장의 급락을 시작으로 부동산 폭락, 경기 침체, 디플레이션을 겪으며 맞이한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이 배경이었다.

그렇지만 <야반도주> 소재는 드라마 픽션이 아닌, 실제 일본에서 벌어진 ‘인간증발’을 다룬 ‘논픽션’이었다.

 

버블경제가 꺼지며 불황이 지속되자 서민들은 대부업체에서 돈을 빌리기 시작했다.

당시 샐러리맨 대상 소액 고리대금업인 ‘사라리만 킨유’가 사람들 사이에서 퍼져나갔고, 대부업체들은 야쿠자와 손잡으며 연 100%가 넘는 폭리를 착복했다.

사람들은 눈덩이 이자를 갚지 못했고, 야쿠자의 협박에 견디다 못해 야반도주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된다.

 

잃어버린 10년은 1980년대 일본의 주식과 부동산 시장에 형성된 거품이 꺼지기 시작한 1991년부터 2002년까지 이어졌던 극심한 장기 경제침체 기간을 말한다.

그 당시 일본에선 도대체 어떤 일이 일어났길래 그들은 그런 극단적인 선택을 한 걸까?

 

일본은 1986년부터 1991년까지 주식시장의 고평가와 함께 거품경제 기간 동안 부동산과 주식 가격이 폭등했다. 1989년 일본의 주가수익비율이 무려 67에 이를 정도로 버블 정점에 달해, 역사상 유례를 찾기 힘든 버블시장이 출현했다.

 

결국 공격적인 금리 인상과 공급과잉 때문에 1990년부터 일본의 자산시장이 무너졌다. 특히 가격 붕괴가 심화된 1991년부터는 경제성장률마저 떨어지는 등 본격적인 불황의 징후가 나타났다.

1980년대 4.6%였던 연평균 성장률은 버블 붕괴 이후인 1992년부터 2001년까지 0.9%대로 하락하고 말았다.

 

더불어 일본 기업과 가계도 심각한 손실을 입었다.

1990년 일본 명목 GDP가 449조 엔이었는데, 주택과 주식 가격 폭락으로 사라진 자산 가치가 당시 GDP의 3배가 넘는 1,500조 엔이었다.

 

부동산 버블 당시 주택을 구입했던 가계의 손실도 막대했다. 거품경제 기간 동안 부동산을 구매한 가정을 하나만 예로 들어 살펴보자.

만약 자산 15억에 부채 10억을 가진 가계가 있다고 하면, 이 가계는 10억의 빚을 얻고 자신의 순자산 5억을 투입해 15억짜리 집을 구입한 셈이다.

 

그런데 1991년부터 부동산 폭락으로 집값이 50% 하락, 7억 5천이 됐다면 어떨까?

이 가계의 순자산은 마이너스 2억 5천이 되어버린다. 바로 이런 치명적인 타격으로 일본 시민들은 불황에서 헤어나오지 못해 때로는 극단적 선택을 했다.

 

 

<야반도주 사무소>를 연출한 감독 하라 타카히토는 말한다.

“버블의 붕괴는 비극적이었습니다. 부채 액수와 상관없이 대출받은 사람들은 자살했죠. 일가족 전체가 자살하는 일도 있었고, 야반도주해서 신원을 바꾸고 새로운 삶을 살기로 한 가족들도 있었습니다.”

 

이렇듯 한 나라의 경제 침체는 그 나라와 국민들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일본의 야반도주 현상에는 버블 붕괴라는 경제적 사건과 일본인 특유의 수치심과 체면 코드도 결합되어 있는데, 일본 연구의 대표 저서로 꼽히는 <국화와 칼>에서는, ‘일본인들은 윗사람들에게 빚을 지고 있다는 감정’이 있다고 이야기한다.

 

만일 실수해서 수치심이 느껴질 때는 과도하게 자책하며, 결국 예의를 지키고 타인에게 폐를 끼치지 않기 위해 증발이나 자살을 택한다고 한다.

증발한 사람들을 찾는 탐정 후루우치 사카에도 일본인들의 특성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일본인들은 마치 약한 불 위에 올려진 압력솥 같은 사회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그러다 압력을 견딜 수 없을 정도가 되면 수증기처럼 증발해버린다.’

 

이처럼 한 나라의 특정 현상은 단순히 일시적인 발생이 아닌, 경제와 문화의 복합적인 특징 안에서 나타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우리가 이해하기 어려운 사회 현상에는 경제 침체의 그림자가 오래도록 드리운 경우가 많다.

경제적 사건을 모르고선 그 사회의 내막을 이해하기 힘든 이유는, 돈과 관련된 경제 그 자체의 영향이 서민들에겐 불가피하게 직접적인 타격을 가하는 현실 때문일 것이다.

 

오늘만 특가! 품목 모음

 

일본에서는 지금도 매년 10만명 이상의 사람들이 자발적 실종으로 증발한다는 추정치가 있다. 이는 일본의 자살자보다도 4배나 더 많은 숫자다.

현재 일본 경제에는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그들은 왜 여전히 증발하고 있는 것일까?

 

우리가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물의 이면에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것이

거의 비슷한 비율로 숨어 있다.

- <스푸트니크의 연인> 무라카미 하루키 -

 

홍춘옥의 <50대 사건으로 보는 돈의 역사>, 레나모제의 <인간증발>, 루스 베네딕트의 <국화와 칼> <Change Ground>를 참고

+ Recent posts